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군이 월경해 점령했던 쿠르스크 지역을 사실상 탈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2일(현지시간) 영국 텔레그래프 등 외신은 러시아군이 10일 동안의 치열한 전투 끝에 쿠르스크 지역에 남아 있던 우크라이나의 마지막 거점 중 하나인 성 니콜라스 벨로고르스키 수도원을 탈환했다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약 1마일 떨어진 국경 마을에 있는 이 수도원은 쿠르스크 지역의 상징적인 장소로 최근까지 우크라이나군 300명이 이곳을 거점으로 삼아 최후 항전을 벌여왔다. 러시아 국영 TASS 통신과 친러시아 군사 블로거들은 “러시아군이 치열한 전투 끝에 역사적 랜드마크에서 우크라이나의 거점을 무너뜨리는 데 성공했다”며 “이는 쿠르스크 침공이 9개월 만에 끝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특히 앞서 지난 19일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 참모총장은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군이 장악한 쿠르스크의 99.5%를 탈환했다”면서 “우크라이나군의 점령지 가운데 1260㎢ 상당을 수복했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군은 지난해 8월 6일 쿠르스크주에 대한 기습공격으로 일부 지역을 점령하고 러시아군 수백 명을 포로로 잡는 큰 성과를 거뒀다. 특히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종전을 위한 잠재적 협상 목적으로 쿠르스크 영토 반환을 카드로 사용할 계획을 밝혀 이는 훌륭한 전과로 기록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북한군까지 가세한 러시아군의 반격이 성공하며 쿠르스크에서의 우크라이나 지분은 사실상 사라졌다.
반대로 러시아군은 현재 우크라이나 영토 약 20%를 장악하고 있는데, 이 땅은 그대로 러시아의 몫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여기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요구대로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을 포기하고 중립국 지위를 유지하게 된다면 우크라이나로서는 아무 소득도 없는 최악의 결과를 맞게 된다.
한편 푸틴 대통령은 21일 개전 후 처음으로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직접 대화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이날 그는 국영 TV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항상 어떠한 평화 이니셔티브에 대해서든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고 말해왔다”며 “우크라이나 정권 대표들도 같은 생각을 갖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의 제안에 직접적으로 답하지는 않았으나 수용의 뜻을 내비쳤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