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세로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남긴 유산은 단 100달러(약 14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22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매체 ‘암비토’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남긴 재산이 100달러에 불과하다고 보도했다.
교황은 2013년 즉위 이후 교황청에서 일체의 급여를 받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추기경의 월급은 4700~5900달러 수준이지만, 그는 예수회 신부로서 평생 청빈을 서약한 신념을 끝까지 지켰다.
1936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태어난 교황은 빈민촌 사목을 시작으로 가난한 이들의 벗으로 살아왔다. 2001년 추기경에 서임된 뒤에도 고급 승용차 대신 지하철을 탔고, 호화 주거 대신 소박한 아파트에 머물렀다.
교황이 된 이후에도 화려한 교황 전용 숙소를 마다하고 성녀 마르타의 집에서 거주했다. 금 십자가 대신 낡은 철제 십자가를 걸었고, 2014년 한국 방문 당시에는 국빈 의전차 대신 기아차 ‘쏘울’을 타고 다녀 전 세계에 감동을 안겼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황명에서도 자신의 철학을 드러냈다. 전통적인 ‘요한’ ‘바오로’ ‘베네딕토’가 아닌, ‘가난한 이들의 성자’ 아시시의 프란치스코를 택했다.
그의 검소함은 장례에도 반영됐다. 교황은 성베드로 대성당이 아닌,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지하 무덤에 안장되기를 원했다. 생전 유언에서 “(나의) 무덤은 특별한 장식 없이, 단순해야 할 것입니다. 비문엔 ‘프란치스코(Franciscus)’만 새겨져 있어야 합니다”라고 남겼다.
세상을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남긴 말은 자신을 곁에서 돌봐온 보좌관에게 “신도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전할 수 있게 해줘서 고맙습니다”라는 인사였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황청의 재정 투명성을 강화하고, 교회가 가난한 이들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는 신념 아래 자선 활동을 확대해왔다. “물질이 아니라 사랑과 연대로 세상을 바꿔야 한다”는 그의 삶과 철학은 종교를 넘어 많은 이들에게 울림을 남기고 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