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국내에서 원자력 수소 생산이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오는 10월 울주군 신암리 일원에서 원자력 수소 실증 플랜트를 착공할 계획이다. 가동 예상 시기는 2년 뒤인 2027년 3월이다.
이번에 지어지는 원자력 수소 플랜트는 인근 고리원전과 새울원전에서 바로 전력을 공급받아 수전해 방식으로 수소를 생산하게 된다. 한수원은 10㎿급 규모의 저온 수전해 방식으로 하루 4t 이상의 수소를 생산 및 저장, 출하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한수원은 "현재 부지, 전력 안전 등 분야별로 인허가 절차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행 법·제도상 원전에서 발전한 전기를 전력망 외에 수소 생산 시설로 직접 연결할 수는 없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수소 생산 플랜트를 위해 규제 샌드박스(특례)를 신청할 계획이다. 향후 상용화 시점에서는 전용망을 통해 수소 플랜트로 직접 원전의 전력을 공급하고 별도의 전력 비용을 정산할 수 있도록 전력시장 운영규칙, 한전 전력거래 약관 등 법·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 처음 시도되는 원자력 수소 생산 플랜트 구축 사업에는 국내 12개 기관 및 기업이 참여한다. 삼성물산,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이 실제 플랜트를 구축하고 한국전력기술,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원자력 안전과 인허가를 맡는다. 이 외에 한국가스안전공사, 미래기준연구소,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전력거래소,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등이 대거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실증 플랜트에서 생산한 수소는 지난해 3월부터 시행된 청정수소 인증제에 따라 청정수소(수소 1㎏ 생산 시 온실 가스 배출량이 4㎏ 이하인 경우)로 인증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안지영 연구위원은 "발전원과 무관하게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에 맞으면 청정수소로 인증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수원은 실증 플랜트에서 생산한 수소를 인근 산업 수요처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할 계획이다.
원자력 수소 플랜트는 울진군이 추진하는 수소특화단지와 시너지가 예상된다.
울진군 원자력 수소 국가산업단지 조성 계획은 지난해 6월 정부로부터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를 받았다. 이번 사업은 울진군 죽변면 일원 158만㎡(약 48만평)에 3996억원을 투입해 인근 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와 고온 열을 이용해 연간 30만t의 청정 수소를 생산, 저장, 운송, 활용하는 사업이다.
1단계로는 500㎿ 의 전기를 공급받아 연간 7만t의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울진군은 원전 가동률을 85%까지 높이면 수소 생산 단가를 3500원/㎏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산단에는 삼성이앤에이, 삼성물산, GS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 SK에코플랜트, 효성중공업, DL이앤씨, SK디앤디, BHI 등의 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다.
울진군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여서 수소를 활용하려는 기업들의 관심이 높다"며 "오는 6월 중 산업단지계획을 수립하고 내년에 승인, 토지 보상 등의 절차를 거쳐 2030년에 준공한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강희종 에너지 스페셜리스트 mindle@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