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팀스파르타는 지난해 자사 기업교육 운영 결과 인공지능(AI) 교육 문의 건수가 전년 대비 4배 이상 증가했으며, 이 가운데 약 90%가 생성형 AI 기반 교육과정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AI 기업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는 특정 산업에 한정되지 않았다. 사기업은 물론 제조·건설·금융업 등 다양한 조직의 요청이 이어졌으며, 특히 비개발 직군의 실무형 AI 역량 강화 요구가 두드러졌다. 팀스파르타가 직장인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비개발 직군 응답자의 26%가 생성형 AI 및 GPT 활용 교육을 가장 선호한다고 답했다. 또한 지난해 상반기 기업 대상 교육 수요 조사에서도 응답 기업의 77.1%가 사내 AI 교육을 이미 시행 중이거나 도입을 계획 중이라고 응답했다.
팀스파르타는 이러한 흐름에 따라 AI 교육 체계를 고도화해 기업교육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고 했다. 주요 사례로 영업 직무에는 고객 응대 문서 자동화와 매출 리포트 작성을, 전략기획 직무에는 기획서 구성 및 시각 자료 제작 등 각 실무 분야에 생성형 AI를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직급과 숙련도에 따라 교육 대상을 세분화해 학습 경로를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실무자 및 신입사원 대상으로는 '기초 AI 리터러시 교육'을 비롯한 단계별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책임자 및 승진자에게는 'PM/PO 역할'까지 아우르는 IT 리더십 과정을, 임원 및 경영진에게는 거시적 관점의 생성형 AI 이해와 실습을 결합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팀스파르타는 올해부터 산업군별 특성을 반영한 'AI-AX' 교육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업종별 데이터와 실제 업무 과제를 반영한 맞춤형 커리큘럼, 개념 검증(PoC)을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형 교육 과정을 통해 기업의 전사적 디지털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AI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공공기관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범용성과 실행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이범규 팀스파르타 대표는 "앞으로도 산업별 과제에 최적화된 맞춤형 교육을 통해 기업의 AI 전환을 밀착 지원하고, 각 조직이 직면한 현장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가는 전략적 교육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라고 했다.
최호경 기자 hocance@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