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적자 축소” “에너지 수입 확대”
韓 “기업 대미 투자… 상호관세 철폐”
美, 환율·농업 등 ‘비관세장벽’ 나열
안덕근·그리어 별도로 현안 논의도
한국과 미국의 ‘2+2 통상협의’가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렸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최대 규모의 한미 고위급 만남으로, 상대의 ‘패’를 감지하기 위한 탐색전 양상이 이어졌다. 서로의 입장을 확인한 한미는 조속한 시일 내에 후속 협의를 이어 가기로 했다.
이날 오전 8시(한국시간 오후 9시) 백악관 인근 재무부 청사에서 열린 협의에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트럼프 행정부의 2인자 격인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한미를 대표해 각각 나섰다. 실무자 대표로 최지영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과 박성택 산업부 1차관, 미국에서도 차관보급 2명이 테이블에 함께 앉았다.
미국의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기 위한 무역균형 문제가 주로 논의됐다. 한국은 미국산 원유나 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수입 확대를 추진할 수 있고 항공기 추가 구매 문제도 고려할 수 있다는 취지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 계획을 강조하며 자동차와 철강에 적용된 25%의 품목 관세와 7월 초까지 90일간 유예된 상호관세를 철폐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비상계엄과 탄핵에 이은 조기 대선으로 현재 정치적 리더십이 부재한 상황이어서 민감한 결정을 하기 힘들다는 점을 감안해 줄 것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그동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USTR의 무역장벽(NTE) 보고서 등에서 수차례 제기했던 한국의 ‘비관세장벽’들을 중점적으로 나열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SNS)에 전 세계 무역상대국이 미국을 상대로 그동안 취한 대표적인 ‘비관세 부정행위’라며 환율 조작,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농업 기준 등 8가지 유형을 나열했다.
2+2 협의 직후 안 장관과 그리어 대표는 별도로 만나 구체적인 통상 현안을 논의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미국이 요구한 사안들을 관계 부처와 자세히 검토한 뒤 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