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개월 만에 2.0%에서 1.0%로 크게 끌어내린 배경에는 미국 관세 영향과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이어진 정치 불확실성이 있었다. 특히 지난 1월 전망 당시 국내 정치 상황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에 담지 못했고, 이번에 포함하다 보니 낙폭이 크게 나타났다.
라훌 아난드 국제통화기금(IMF) 한국미션단장은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서면 답변을 통해 IMF가 이달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을 낮춘 배경으로 "최근 관세 조치뿐 아니라 지난해 말 이후 국내 상황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아난드 단장은 "1월 업데이트에는 정치 상황에서 비롯된 하방 위험이 늘었음을 인정했다"면서도 "데이터가 제한돼 12월에 발생한 사건(비상계엄 사태)으로 인한 정치 불확실성이 단기 거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에 전체 회원국 대상으로 세계경제전망을, 1월과 7월에는 주요 30개국만 추린 수정전망을 발표한다. 지난 22일에 내놓은 4월 경제전망에선 올해 한국 성장률을 1.0%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1월 발표 대비 1.0%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김성욱 IMF 이사는 이날 워싱턴D.C.에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동행 기자단과 만나 "IMF에서 지난해 10월 (한국 성장률을) 2.0%로 제시했고 이후 일어난 국내 상황 변화, 정치 불확실성에 따른 실물 경제, 금융 시장의 영향을 이번에 반영했다"며 "이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내놓은 관세 조치까지 다 합쳐서 나오다 보니 (기존 대비 하락 수치가) 커 보이는 것"이라고 짚었다.
미국 관세와 국내 정치 영향을 나눠서 살펴볼 수 있냐는 취재진 질문에는 "(IMF 측에서) 얘기를 하진 않는다"며 "한국 수치는 혼재된 것"이라고 말했다. 미 관세 영향이 언제까지 지속할지와 관련해선 "IMF 전망은 내년까지 영향이 간다고 본 것"이라고 했다. 또 "불확실성이 높으면 투자에도 영향이 있다"며 "상당 기간 영향이 미친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IMF가 이번에 제시한 한국 성장률은 국내외 주요 기관이 발표한 전망치 중 가장 낮다. 정부는 올해 성장률을 1.8%로 전망했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6%를 제시했다.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각각 1.5%로 내다본 바 있다. 한편 한은은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0.2% 하락했다고 이날 밝혔다.
워싱턴D.C.(미국)=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