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경제
"쉬면 밥 굶어요" 365일 문 여는 가맹점 17만개…1위는 이곳
    입력 2025.04.23 08:21
    0
서울 시내의 한 편의점 모습으로 기사 내용과 무관. 강진형 기자

[ 아시아경제 ] 연간 정기휴무일이 하루도 없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17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로 편의점과 카페 등 24시간 가까이 영업하는 업종들이 주를 이뤘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프랜차이즈(가맹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15개 주요 업종(기타 제외) 가맹점 가운데 정기휴무일이 없는 곳은 16만9364개로 집계됐다. 전체 가맹점(27만86개)의 62.7%에 달하는 비율이다.

정기휴무일은 공휴일, 명절 등을 제외하고 가맹점이 정기적으로 쉬는 날을 뜻한다. 정기휴무일이 없는 가맹점 비율은 편의점에서 가장 높았는데, 24시간 운영 특성 탓에 전체 5만4828개 중 거의 대부분인 5만4392개(99.2%)가 정기휴무일 없이 운영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커피·기타 비알코올음료점업도 3만2241개 가맹점 중 2만6234개(81.4%)가 정기휴무일이 없었고, 제과점업의 정기휴무일 '없음' 비율도 78.3%로 높았다.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59.5%)이나 생맥주·기타주점업(56.8%)에서도 정기휴무일이 없는 가맹점이 절반 이상에 달했다.

반면 자동차 전문 수리업(2.8%)이나 의약품·의료용품 소매업(12.1%)은 정기휴무일이 없는 가맹점이 적었다.

하루 평균 영업시간도 상당히 길다. 전체 가맹점 가운데 일일 평균 영업시간이 14시간 이상인 곳이 7만2972개(27.0%)였다. 특히 편의점은 14시간 이상 영업 비율이 99.7%로 집계됐는데, 대부분 편의점이 정기휴무일 없이 하루 14시간 영업하는 셈이다.

이어 제과점업(34.3%), 가정용 세탁업(24.3%), 커피·기타 비알코올 음료점업(19.1%), 문구·회화용품 소매업(18.8%) 등이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취업자 5명 중 1명이 자영업자일 정도로 자영업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치열한 경쟁을 버티기 위해 '무휴 운영'이 일반화됐다고 보고 있다. 대부분 영세하기 때문에 휴무일을 가져가면 적자 구조를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또 최근 내수 부진과 소비 심리 위축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자영업자 평균 소득은 2022년 말 4131만원에서 지난해 말 4157만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 수준(4242만원)을 회복하지는 못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자영업자의 소득 회복이 지연되면서 대출 연체율이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며 "자영업자 지원 정책은 개별 자영업자의 상환 능력과 의지에 따라 금융지원, 채무조정, 재기 지원 등을 차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업자
    #정기
    #편의점
    #휴무일
    #기타
    #조사
    #자영
    #전체
    #지원
    #가맹점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제 주요뉴스
  • 1
  • 한국경제 1분기 ‘- 0.2% 역성장 쇼크’
    서울신문
    0
  • 한국경제 1분기 ‘- 0.2% 역성장 쇼크’
  • 2
  • SK하이닉스 영업이익률 42% ‘훨훨’… 대만 TSMC 맞먹어
    서울신문
    0
  • SK하이닉스 영업이익률 42% ‘훨훨’… 대만 TSMC 맞먹어
  • 3
  • 드림타워보다 높은 건물 생긴다고?… 제주 스카이라인 바뀐다
    서울신문
    0
  • 드림타워보다 높은 건물 생긴다고?… 제주 스카이라인 바뀐다
  • 4
  • 서울 서남권, 복합문화시설 '서서울문화플라자' 건립 길 열렸다
    아시아경제
    0
  • 서울 서남권, 복합문화시설 '서서울문화플라자' 건립 길 열렸다
  • 5
  • IBK기업은행, 서울대학교발전재단과 기부문화 확산 업무협약 체결
    아시아경제
    0
  • IBK기업은행, 서울대학교발전재단과 기부문화 확산 업무협약 체결
  • 6
  • KB손보, 1분기 순익 3135억…전년 대비 8.2%↑
    아시아경제
    0
  • KB손보, 1분기 순익 3135억…전년 대비 8.2%↑
  • 7
  • 삼성전자, 7월 뉴욕서 폴더블폰 ‘언팩’
    서울신문
    0
  • 삼성전자, 7월 뉴욕서 폴더블폰 ‘언팩’
  • 8
  • [서울데이터랩]삼성바이오로직스 2.16% 하락하며 증시 견인
    서울신문
    0
  • [서울데이터랩]삼성바이오로직스 2.16% 하락하며 증시 견인
  • 9
  • 응암동 700·755번지 일대, 3000가구 주거 단지 탈바꿈
    아시아경제
    0
  • 응암동 700·755번지 일대, 3000가구 주거 단지 탈바꿈
  • 10
  • HDC현산, 1Q 영업익 전년 대비 30%↑ "주택사업 이익 영향"
    아시아경제
    0
  • HDC현산, 1Q 영업익 전년 대비 30%↑ "주택사업 이익 영향"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