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SK하이닉스가 24일 2025년도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딥시크와 같은 추론 인공지능(AI) 모델들은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 출원 과정을 길게 수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더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AI 모델들이 더 정교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하드웨어 자원을 필요로 하면서 AI 시장의 중심이 모델 훈련에서 추론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다"며 "이 또한 추가적인 고용량 메모리 수요를 창출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당사는 고용량 서버가 중장기 서버 수요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딥시크가 기폭제가 돼 AI 개발 저변이 확대된 영향을 고려하면 앞으로 AI 개발, 응용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이고 장기적인 AI 서버 수요 성장과 이에 따른 메모리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