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0
5
0
문화
사랑하는 것은 원하는 대로 존재하지 않더라
    오경진 기자
    입력 2025.04.14 00:00
    0

쾌락·고통 모순적인 사랑의 본질
모든 인간은 역설 통해 균형 유지

캐나다 시인 앤 카슨. 난다 제공
캐나다 시인 앤 카슨. 난다 제공

시인의 손끝에서 학위논문이 아름다운 에세이로 되살아난다. 흔히 ‘사랑’으로 번역되는 그리스어 ‘에로스’는 어째서 늘 ‘달콤함’과 ‘씁쓸함’ 사이를 오가는가. 쾌락과 고통의 이율배반으로서 사랑의 본질을 시(詩)적으로 탐구한다.

해마다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는 캐나다의 시인 앤 카슨(75)의 에세이 ‘에로스, 달콤씁쓸한’(난다)이 최근 한국어로 옮겨졌다. 카슨은 고대 그리스를 비롯한 서양고전문학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학자이기도 한데, 이 책은 그의 박사 학위논문 ‘나는 증오하고 사랑한다, 고로 존재한다’를 개작한 것이다. 원래 논문이어서 그런지 치밀하고 논리적이다. 그러나 동시에 아름답다.

“모든 인간적 욕망은 역설을 축으로 삼아 균형을 잡고 있다. 그것의 양극은 부재와 현존이고, 그것의 원동력은 사랑과 증오다.”(28쪽)

카슨은 에로스의 어원을 탐구하며 논리를 전개하기 시작한다. 그리스어 에로스는 ‘필요’, ‘결핍’ 그리고 ‘없어진 것에 대한 욕망’을 의미한다고 한다. 욕망은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것을 향한다. 만약 소유됐다면 그것은 더는 욕망의 대상이 아니다. 카슨은 달콤함과 씁쓸함을 오가는 사랑의 역설이 여기서 시작된다고 본다. 카슨은 고대 그리스의 서정시인 아나크레온의 시를 인용한다. “나는 사랑에 빠졌다! 나는 사랑에 빠지지 않았다!/나는 미쳤다! 나는 미치지 않았다!” 때때로 사랑은 모순이 아니면 형용할 수 없는 감정이다.

“우리가 읽는 말과 우리가 쓰는 글은 우리가 의미하는 바를 절대로 정확히 말하지 않는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은 절대로 우리가 욕망하는 모습 그대로의 그들이 아니다. … 에로스는 사이에 존재한다.”(187쪽)

욕망의 모순성을 간파한 시인은 그것에 쓰기와 읽기, 즉 문학이라는 행위의 비밀이 있음을 알아챈다. 말과 글은 의미와 의도를 담아내고자 애쓴다. 하지만 언제나 실패하고 미끄러진다. 작가가 완성한 글은 독자에게로 가 새로운 생명력을 얻는다. 그 생명력은 작가의 의도와는 무관하다. 문학은 어느 한 의미에 고착되지 않는다. ‘사이에 존재하는’ 에로스처럼 끊임없이 운동한다.

독창적이면서도 아름다운 세계문학을 발굴해 소개하겠다는 포부로 지난해 시작한 난다의 세계문학 브랜드 ‘모호’의 책이다. 시인 황유원이 한국어로 옮겼다. 모순은 위험하고 때에 따라서는 불온하기까지 하다. 하지만 우리는 기어코 무언가를 욕망한다. 카슨은 욕망을 긍정하며 책을 이렇게 끝맺는다.

“알려진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 사이의 차이를 향해 손을 뻗는 것은 큰 위험을 동반하는 일이다. 그(소크라테스)는 그 위험을 감수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겼는데, 그 자신이 구애 자체와 사랑에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렇지 않은 사람이 누가 있겠나?”(287~288쪽)

    #욕망
    #원하
    #존재
    #시인
    #우리
    #에로스
    #문학
    #나는
    #사랑
    #카슨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1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문화 주요뉴스
  • 1
  • “나의 무대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원로배우 박정자, 지인 130명 ‘가상 장례식’ 초대
    서울신문
    0
  • “나의 무대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원로배우 박정자, 지인 130명 ‘가상 장례식’ 초대
  • 2
  • 덕성여대, 2025 직무박람회(JOB Fair) 성황리 개최
    중앙이코노미뉴스
    0
  • 덕성여대, 2025 직무박람회(JOB Fair) 성황리 개최
  • 3
  • 만 65세 이상 임플란트 평생 2개·틀니 7년마다 비용 70% 지원[알아두면 쓸데 있는 건강 정보]
    서울신문
    0
  • 만 65세 이상 임플란트 평생 2개·틀니 7년마다 비용 70% 지원[알아두면 쓸데 있는 건강 정보]
  • 4
  • 미술관 지키는 고양이부터 불시착 외계인까지…가족과 함께 볼만한 영화들
    서울신문
    0
  • 미술관 지키는 고양이부터 불시착 외계인까지…가족과 함께 볼만한 영화들
  • 5
  • ‘꽃 대신 함께 웃던 기억을 들고 오세요’… 박정자, 지인 130명 ‘가상 장례식’ 초대
    서울신문
    0
  • ‘꽃 대신 함께 웃던 기억을 들고 오세요’… 박정자, 지인 130명 ‘가상 장례식’ 초대
  • 6
  • 억압과 순응을 강요하는 세상에 총구를 겨누다
    서울신문
    0
  • 억압과 순응을 강요하는 세상에 총구를 겨누다
  • 7
  • 가천대 가천코코네스쿨, 제10회 ‘GCS THE Forum’ 개최
    중앙이코노미뉴스
    0
  • 가천대 가천코코네스쿨, 제10회 ‘GCS THE Forum’ 개최
  • 8
  • ‘민족문학의 대표 작가’ 김영현 작가 별세
    서울신문
    0
  • ‘민족문학의 대표 작가’ 김영현 작가 별세
  • 9
  • 한국 호러·SF 소설, 할리우드와의 ‘조우’
    서울신문
    0
  • 한국 호러·SF 소설, 할리우드와의 ‘조우’
  • 10
  • 세르주 블로크, ‘작은 선의 위대한 여행’ 예술의전당에서 오는 29일 개막
    서울신문
    0
  • 세르주 블로크, ‘작은 선의 위대한 여행’ 예술의전당에서 오는 29일 개막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