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의 싱크탱크로 주목받은 '성장과 통합'이 출범 8일 만인 24일 사실상 활동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져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성장과 통합'에 대해 완전한 해산인지 조직 정비를 위한 잠정적 활동 중단인지를 두고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어떻게 정리가 되든 정상적으로 재가동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성장과 통합'은 지난 16일 출범 당시 유종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명예교수 등 각계 전문가와 전·현직 관료 500여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지며 차기 정부의 '인재 풀'로 주목받았다.
이들은 당초 정책 선거를 이끈다는 명분 아래 출범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싱크탱크 내부에서 논의된 내용이 마치 이재명 후보 캠프의 공식 정책인 것처럼 외부에 알려지면서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민주당에선 공식 캠프와 의논을 거치지 않은 내용이 '공약'으로 포장돼 확산되면서 유권자들에게 혼선만 부추길 수 있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조용한 선거'를 치르겠다는 이 후보의 선거 전략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캠프에 참여한 일부 인사들이 차기 정권에서 요직에 중용될 수 있다는 근거 없는 소문까지 퍼지면서 혼란은 가중됐다.
이에 이 후보 캠프는 '성장과 통합' 측에 직간접적으로 활동을 자제했으면 좋겠다는 의중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부 역시 그동안 "공식 채널인 정책위가 아닌 곳을 통해, 설익은 정책이 보도되는 것에 우려가 크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여러 차례 내는 등 민간 싱크탱크 등을 겨냥해 우회적인 '경고'를 하기도 했다.
정치권에선 이번 사례가 대선 시즌 단기간 활동을 목표로 생긴 싱크탱크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조기 대선 상황에서 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해야 하는 차기 정부 특성상 학자와 관료 중심의 싱크탱크 출현이 불가피하다는 반론도 있다. 다만 검증되지 않은 아이디어가 캠프의 공식 입장처럼 비치면서 주객이 전도되는 역효과가 예상보다 큰 '리스크'가 될 수 있음이 입증됐다는 평가에 조금 더 힘이 실린다. 선거를 앞두고 단기간 운영되는 싱크탱크보다는 미국의 브루킹스 연구소나 헤리티지 재단처럼 장기적으로 정책을 연구하고 실질적인 정책 반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싱크탱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