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 일방적으로 설치한 구조물에 대해 정부가 깊은 우려를 표하며 구조물을 PMZ 바깥쪽으로 이동시킬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중국은 민간 양식시설로 영유권과는 무관하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24일 외교부에 따르면 전날 서울에서 열린 제3차 해양협력대화에서 우리 측 수석 대표인 강영신 동북·중앙아시아국장은 중국 측에 어떠한 경우에도 추가적인 구조물의 일방적인 설치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시설물 이동 등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우리도 비례적인 대응 조치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언급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중국은 순수 양식시설이라는 점을 설명하며 해양경계 획정 문제 등과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고 한다. 한국 측이 현장을 직접 조사할 수 있도록 해 주겠다고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팽팽한 입장 차이를 확인한 셈이지만 외교부는 일단 추가 구조물 설치는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중 모두 이 문제가 양국 관계 발전 흐름에 걸림돌이 돼선 안 된다는 공동 인식을 갖고 있다”며 “상황이 악화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와 관련,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23일(현지시간) “중국이 항행의 자유를 포함한 국제법 준수를 수십 년간 거부하면서 자국의 경제 이익을 저해하고 역내 불안정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