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인 이재명 전 대표는 23일 남북관계와 관련해 "평화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겠다는 방침으로 외교협력해 나가면 얼마든지 평화 체제를 구축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오마이TV에서 진행된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토론에서 "한반도 평화 문제는 생존의 문제이자 경제에도 직접 영향을 미치며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연원이기도 하다"며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현재 상황과 관련해 "상황이 안 좋다"며 "북한이 남한을 완전히 딴나라 취급하겠다고 공언했으며 휴전선을 따라 장벽을 쌓고 있다"고 진단했다.
관계 악화의 원인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강대강 대북 정책을 꼽았다. 이 전 대표는 "윤석열 정권의 대책 없는 강대강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며 "힘자랑하고 무시하며 일부러 관계를 끊고 갈등을 조장했다"고 꼬집었다. 그는 오물풍선 문제가 사라진 것과 관련해 "남에서 북으로 삐라를 안 보내니까 확성기를 안 하니까 북한도 안 한다"며 "이는 충분히 통제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도 했다.
이 전 대표는 대외환경변화를 거론하며 "북한도 러시아와 가까워지면서 여러 가지 위험성이 커졌지만 대화의 필요성을 미국이 크게 느끼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면서 "이 기회 국면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당장 통일이라는 거창한 얘기를 할 순 없지만 평화 공존부터 얘기해야 한다"며 "적대성을 계속 심화시켜서 안 된다. 강력한 국방력으로 안보를 튼튼히 하는 건 기본으로 이 틀 위에서 대화와 협력의 기회를 늘려야 한다"고 했다.
토론회에서 김동연 경기지사는 "남북관계와 관련해 주체는 우리라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것과 북미대화는 지원하지만 한미 간 역할은 분담해야 한다는 점, 남북 간 핫라인을 구축할 것, 국내외 한반도 평화자산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 등을 강조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군사적 우발 충돌을 방지하는 조치와 북미 간 협상을 지원하면 그 과정에서 한국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지사는 통일부를 평화협력부로 갖추고 정권마다 남북정책이 바뀌는 것을 막기 위한 초당적인 외교안보전략위원회 구성 등을 제안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